카테고리 없음

정부 프로젝트에 선정된 바이오 스타트업 및 산학협력 바이오 스타트업

Balancer B 2025. 6. 22. 01:26
반응형

정부 주도의 ‘초격차 스타트업 1000+ 프로젝트’ 등에 선정된 바이오 스타트업들이 주력하는 기술 분야는 매우 다양하며, 최신 바이오헬스 트렌드와 미래 성장 동력을 반영하고 있습니다. 주요 기술 분야는 다음과 같습니다.

 

정부 주도의 ‘초격차 스타트업 1000+ 프로젝트’ 등에 선정된 바이오 스타트업들이 주력하는 기술 분야

  • mRNA 백신 및 신약 개발
    • mRNA 기반 신약, 항암 치료제, 백신 플랫폼 기술 등이 대표적입니다. 예를 들어, 오토텔릭바이오는 mRNA 기반 ASO(항센스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) 신약과 저분자 화합물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1.
  • AI 신약 개발
    • 인공지능(AI)을 활용한 신약 후보 발굴, 약물 설계 및 임상 데이터 분석 등이 포함됩니다. 이 분야는 신약 개발 효율성과 정확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2.
  • 줄기세포 및 재생의료
    • 줄기세포 치료제, 세포 치료 플랫폼, 재생의료 관련 기술 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2.
  • 바이오소재 및 코스메슈티컬
    • 유전자 및 바이오테크놀로지 기반 인체 친화적 단백질, 단일클론항체, 바이오소재 생산 기술이 화장품, 식품, 코스메슈티컬, 헬스케어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되고 있습니다1.
  • 방사성 의약품 및 약물전달체
    • 방사성 동위원소와 표적 리간드 조합을 통한 암 치료제, 나노-바이오 융합 약물전달체 플랫폼 등이 있습니다. 지티아이 바이오사이언스는 테라캐리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방사성 의약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1.
  • 진단 및 헬스케어 솔루션
    • 광학 바이오 센서 기반 소변 진단, 라이프로그 데이터와 기초 진단 데이터를 활용한 예방 중심 건강관리, 만성질환 관리 솔루션 등이 있습니다. 디앤씨바이오테크놀로지는 차세대 소변 진단 솔루션과 홈 헬스케어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습니다3.
  • 플랫폼 및 원천기술
    • 압타머 발굴 및 성능개선, 3차원 세포 배양 플랫폼 등 다양한 원천기술과 플랫폼 기술이 바이오 스타트업의 핵심 역량입니다. 진메디신은 압타머 발굴 원천기술을, 스페바이오는 3차원 세포 배양 플랫폼 기술을 주력으로 하고 있습니다1.

산학협력 바이오 스타트업 주요 정보

  • 산학협력 생태계 참여 기업
    • 우정바이오: 수원대학교 창업보육센터와 바이오 분야 오픈이노베이션 및 산학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하여, 연구 인프라 공동 활용, 인적교류, 창업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 중입니다1.
    • 서울바이오허브 입주기업: 서울바이오허브에 입주하는 바이오·의료 스타트업들은 대학, 연구기관과의 산학협력 네트워크를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. 최근 입주기업으로는 미라큐어, 바이오뉴트리온, 바이오로직스포유, 셀로이드, 실리코팜, 에이뮨링크, 엠디알, 엠엑스티바이오텍, 파로스, 프리닥터 등이 있습니다2.
    • 제론메드: 서울바이오허브 입주기업으로,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연구팀과 산학연 Collabo R&D 과제를 공동 수행 중입니다2.
  • 초격차 바이오 스타트업
    • 아스트로젠, 업테라, 티씨노바이오사이언스, 휴먼에이스, 엑소코 바이오, 셀라메스, 파노로스 바이오사이언스, 엘베이스, 뉴라메디, 테라시드 바이오사이언스, 바이오녹스, 엑솔런스, 에이템즈, 네오젠티씨, 피알지 에스앤텍, 알지노믹스, 드노보바이오테라퓨틱스, 티카로스, 에이피트 바이오, 펠레메드, 메디노 등은 최근 정부 주도의 초격차 스타트업 육성사업(DIPS 1000+)에 선정된 바이오 스타트업으로, 산학협력 및 기술사업화, 투자유치 등 다양한 지원을 받고 있습니다3.
  • 산학협력 컨소시엄 및 네트워크
    • 한국바이오협회에서는 바이오데이터 및 AI 신약 개발 전문가 양성과 산학협력 컨소시엄 기업 모집을 통해, 바이오데이터 관련 스타트업과 대학, 연구기관 간의 협력 생태계를 조성하고 있습니다4.
    • *바이오헬스투자협의체(InvestBio)**에는 다양한 바이오 스타트업과 대학, 연구기관, 벤처캐피탈, 대기업 등이 참여하여 산학협력 및 투자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5.
반응형